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연구사업관리전문가의 역할과 책임 강화 추진

4차 산업혁명 시대 PM 역할 개선 방안 수립을 위한 TF 출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비전21]기초·원천연구, 정보통신기술 분야 정부 연구개발 사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연구사업관리전문가(이하 ‘PM’)의 역할을발전적으로 재정립하고, 책임성·공정성·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오는 30일 오후 3시 정부과천청사에서 PM 역할 개선 TF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PM이란 Program Manager의 약자로, 정부 R&D 사업의 기획·관리 전주기에서 전문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됐으며, 주로 R&D 과제 기획, 평가위원 추천, 연구 컨설팅, 우수성과 발굴 및 후속연구 연계·사업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관별로 명칭이나 역할의 차이는 있으나 미국 국립과학재단, 독일연구협회, 일본학술진흥회 등 선진국 연구지원기관과 국내 대부분의 연구관리전문기관이 도입·운영 중이며, 대학·출연연 등에서 파견 또는 전문기관에 채용된 상근 PM과, 상근 PM을 지원하는 비상근 PM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그간 PM 제도는 정부 R&D 사업의 전문적이고 공정한 운영, 연구현장의 의견수렴, 국가 과학기술 역량 향상에 기여해왔으나, 한편으로는 과제 기획, 선정, 평가 등의 과정에서 공정성 문제의 소지가 있고, 책임성 부여도 미흡하다는 등의 비판도 있어 왔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연구커뮤니티의 문제제기를 반영하고, 4차산업혁명 대응과 연구자 중심 R&D 정책 이행을 위해 PM의 역할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번 TF를 발족하게 됐다.

TF는 과기정통부 소속 연구관리전문기관인 한국연구재단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PM 제도를 대상으로 논의하게 되며, 향후 자체회의, 연구커뮤니티 의견수렴, 토론회 개최,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상반기 중 PM 역할 개선 및 책임성·공정성·전문성 제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PM은 ‘연구자 중심 R&D 프로세스 혁신’ 이행의 핵심 주체로서, PM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과 발전적 운영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TF를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