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전21뉴스=정서영 기자) “인공지능(AI)을 행정과 정책에 접목시켜 대표 스마트행복도시로 도약하겠다.”지난 3월 28일, 민선 8기 3년 차를 맞은 최대호 안양시장은 스마트도시 정책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시민의 삶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겠다는 이 비전은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는 행정의 방향으로서 의미가 있으며, 기본적인 취지에는 공감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안양시는 스마트도시통합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마트 행정 서비스를 시도해 왔습니다. 과거 단순 관제 중심의 CCTV 시스템은 이제 교통 제어, 범죄 예방, 재난 대응 등 도시 전반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버스 ‘주야로’의 시범 운행, 고령자를 위한 AI 안심 서비스, 기후변화 대응 교육 공간 ‘안양그린마루’의 개관 등은 스마트 기술을 행정에 접목하려는 안양시의 시도들입니다.
하지만 시민이 체감할 수 있어야 진정한 '스마트 행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통 흐름을 개선하겠다며 도입된 일부 스마트 교차로나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은 그 실효성을 시민들이 직접 느끼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자율주행버스는 시범운행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용률도 낮아 실질적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고령자를 위한 AI 돌봄 서비스 역시 도입 취지는 좋지만, 실제 설치 수나 서비스 대상이 제한적이고, 첨단 AI보다는 단순 음성인식 기능에 그쳐 기술의 고도화가 시급합니다. 또한 스마트 자원 회수기기도 고장, 인식 오류, 낮은 이용률 등으로 인해 정책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스마트 사업들이 과연 투입된 예산만큼의 효과를 내고 있는가 하는 점입니다. '스마트도시 안양'이라는 슬로건이 실질적 경쟁력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단지 보여주기식 상징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 시정 전반에 대한 객관적 점검이 필요합니다.
지방정부의 정책은 무엇보다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집중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정책의 실효성과 예산의 효율성은 반드시 따져봐야 합니다. 아무리 앞선 기술도 시민이 체감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에 불편이 줄지 않는다면 이는 진정한 스마트 행정이 될 수 없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전시성 행정을 지양하고, 실질적 효과를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입니다. 기술 도입을 위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시민이 “정말 편해졌다”, “안전해졌다”고 느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스마트도시 관련 부서 간 협업 체계, 시민 만족도에 대한 정기적 조사, 스마트도시통합센터 운영 현황과 성과지표 등은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평가와 개선이 뒤따라야 합니다.
이제는 안양시의회가 나서서 이러한 스마트 정책의 실효성을 철저히 검증하고, 필요한 경우 개선 방향을 제시해야 할 시점입니다. 정확한 자료와 시민의 목소리에 기반한 정책 평가야말로, 진정한 시민 중심 행정으로 가는 첫걸음입니다.
스마트도시는 기술을 자랑하는 무대가 아니라, 시민의 일상이 더 안전하고 편리해지는 도구여야 합니다. 안양시는 이제 보여주기식 정책에서 벗어나, 시민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스마트 행복도시’로 거듭나야 할 때입니다.
그 길에 안양시의회는 시민과 함께, 마지막까지 책임 있게 함께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