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21뉴스) 광명시가 기존 ‘돌봄통합추진위원회’를 법정 협의체로 전환하며, 시민 누구나 돌봄의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
시는 22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지난 10월 2일 공포한 ‘광명시 돌봄 통합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광명시 통합지원협의체 위촉식 및 회의’를 열고, 기존 ‘돌봄통합추진위원회’를 법정 협의체로 전환했다.
이번 전환은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의료·요양·돌봄·주거 등 지역의 모든 돌봄 자원을 하나로 연결하는 ‘광명형 돌봄통합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법정 협의체 전환은 행정 중심의 돌봄체계를 시민 중심 협력체계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돌봄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지역 내 모든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돌봄 통합지원 모델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통합지원협의체는 박승원 광명시장을 위원장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광명지사장, 광명시사회복지협의회장, 의료·요양·주거·복지 분야 기관장과 전문가, 시민대표 등 18명으로 구성됐다.
민·관이 함께 참여해 돌봄정책의 방향을 논의하고 실행계획을 자문하는 지역 돌봄정책의 핵심 협의기구로 운영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보건복지부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 ▲통합지원협의체 전환 경과 보고 ▲퇴원환자 연계 및 방문의료 지원체계 구축 ▲복지·주거 서비스 통합지원 체계 마련 등 구체적 연계방안을 논의했다.
박 시장은 “시민이 체감하는 돌봄 통합지원은 결국 일상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살던 곳에서 돌봄이 이어지고, 도움이 필요한 순간 누구나 지원받을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명시는 지난 6월 보건복지부의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기술지원형)’ 지자체로 선정된 이후 ▲퇴원환자 연계 관리 ▲방문의료 서비스 신설 ▲지역 병·의원·한의원 중심의 1차 의료 협력망 구축 ▲맞춤형 복지·식사·주거 지원 통합연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과를 쌓아왔다.
또한 지난 9월 3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돌봄통합 역량강화 교육으로 현장 인력을 체계화하고, 지역 내 의료·복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시는 통합지원협의체를 중심으로 지역 돌봄 자원 간 연계를 강화하고, 퇴원환자·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통합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방문의료·재가돌봄·주거복지 등 분야별 기관 협력을 확대하고, 주민참여예산을 활용한 지역 주도형 돌봄 생태계를 조성해 ‘광명형 돌봄통합 도시’ 실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